반응형

인문/영화 4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1920)- 100년도 더 된 독일 무성영화

자그마치 100년이나 된 이라는 고전영화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독일에서 만든 무성영화입니다. 처럼 단편영화 말고 서사를 갖추고 어느 정도의 러닝타임이 있는 무성영화를 본 것이 이번이 처음입니다. 배우들이 뭐라고 뻐끔뻐끔 말하는 것을 보여주고 화면에 대사만을 따로 보여주는 형식입니다. 처음에는 아무래도 되게 익숙지 않았는데 금방 괜찮아졌습니다. 이 정도로 오래된 영화는 처음인데 시놉시스가 되게 깔끔하고 재미있습니다. 그래도 자막으로 내용을 전달받으니 좀 어색했습니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감독: 로베르트 비네출연: 베르너 크라우스, 콘라드 베이트, 프리드리히 페르, 릴 다고버표현주의 영화라 연극 무대처럼 생긴 세트장이 눈에 띄었습니다. 현실적인 모습보다는 다소 비틀어지고 왜곡된 형태의 선을 사용하고 문이나 ..

인문/영화 2025.04.11

사라진 시간 (2019)- 배우 정진영의 감독 데뷔작

사라진 시간감독: 정진영출연: 조진웅, 배수빈, 정해균, 차수연개봉: 2020. 06. 18.저는 최근에 본 한국 영화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영화였습니다. 관람객들의 평은 좀 엇갈리는 것 같지만, 영화가 기존의 한국 상업영화와 다른 무언가를 보여주었다는 점은 아마 모두 동의하지 않을까 싶네요. 정진영 씨가 다음에는 어떤 영화를 보여줄 수 있을지 기대가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줄거리를 말하고자 하니 어려운데. 시골에서 근무하는 남교사와 그의 아내가 특별한 사정을 지닌 채 화재사고로 인해 사망하게 됩니다. 화재사고 조사를 위해 온 경찰(조진웅)이 마을 사람들과 이런저런 소동을 부리다가, 자고 일어나니 자신이 경찰이 아니라 교사가 되어 있습니다. 혼란에 빠진 그가 자초지종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다 끝나는..

인문/영화 2025.04.10

인간다움이란? - 영화 <블레이드 러너>, <블레이드 러너 2049> 비교분석

겪어보지 않은 무수한 가능세계를 인간으로 하여금 체험할 수 있게끔 하는 것, 개인적으로 그것이 sf장르가 아닌가 싶다. sf영화에서 그려내는 미래는 다양하지만, 그 속에 나름의 선악이 존재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인간 존재에 대한 탐구를 돕는다는 것은 공통적이다. 특히 영화가 제공하는 시각적인 자료는 관객들이 현실을 돌아보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고 충분히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글에 앞서 필자는 인간 사회를 들추어 보고 발전케 하는 하나의 도구로 sf장르가 있음을 역설한다. 본고에서는 영화 화면과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물론이고, 더하여 영화 속 미래의 도시와 인간의 모습을 다룰 예정이다. 이를 위해 두 편의 시리즈, 1982년 作 리들리 스콧 감독의 와 2017..

인문/영화 2022.07.01

낙태에 대한 단상 -영화 <전혀아니다, 별로아니다, 가끔그렇다, 항상그렇다 (2020 作)>를 보고

십 대 여학생이 보여주는 낙태 여정: 홀로 감당하기 힘든 현실을 무덤덤하면서도 섬세하게 연출한다 (7.7/10) 이 영화는 미국에 사는 한 십 대 소녀가 낙태수술을 받기 위한 과정을 그리고 있다. 작중에서는 주마다 법이 다르기 때문에 낙태를 위해 거주지인 펜실베니아가 아니라 뉴욕으로 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미국 각 주 사이에서도 범죄 인정 유무가 다른 것처럼 낙태법은 논쟁이 끝나지 않는 문제이다. 낙태 자체가 윤리적 딜레마를 가지고 오기 때문에 그에 대한 법적 제재가 단언되기란 어려운 일일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정해진 답은 없지만 영화를 보고 드는 일련의 단상들을 정리해볼까 한다. 대한민국은 형법 제 27장에서 '낙태의 죄'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 ..

인문/영화 2021.08.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