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웹언어
[HTML] 개행 태그 (p, br)
천사환
2022. 10. 8. 11:09
반응형
글쓰기를 기본모드에서 HTML모드로 바꾸면 위와 같이 보입니다. <p> 태그가 거의 모든 행에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p> 태그
<p> 태그는 paragraph의 p를 따와서 단락·문단을 나타내는 태그입니다. 단락을 나타내다 보니까 자동으로 개행을 해주기도 합니다.
HTML 문서는 기본적으로 태그를 통하지 않고서는 행갈이가 불가능합니다. 공백 또한 최대 한 칸밖에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때문에 개행을 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통해야 하는데, 단순한 개행 외에 문단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p> 태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행갈이가 되고 자동으로 위아래로 공백을 넣어주고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third paaragraph를 포함하는 <p> 태그는 없어도 화면 상으로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문단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br> 태그
그렇지만 <p> 태그를 통하지 않고서는 행갈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티스토리 에디터에서는 기본적으로 <p> 태그를 사용하는 것 같지만 문단 간 구분에서 몇 줄 더 띄고 싶다던지 문단이라는 의미가 배제된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지 않습니까. 그럴 때 <br> 태그를 사용합니다. linebreak의 br을 가져왔고 개행만이 목적인 태그입니다.
<p> 태그보다 위아래 공백이 덜하기는 하지만 <br> 태그를 통해서 행갈이가 이루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여러개를 사용해서 공백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